TypeScript Interface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JavaScript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으로 작성된 코드를 살펴보다 abstract
키워드가 눈에 들어왔다. 바로 학교 때 배운 Java가 생각났고 주먹구구식으로 외운 추상 클래스, 추상 메서드 등의 단어도 생각났다. 외우기 위한 공부가 아닌 이해가 필요하다. Java나 JavaScript나 언어는 세부적으로 더 공부하면 되는 것이라 생각해서 당시 공부했던 점프 투 자바 - 05장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을 열었다. 사이트는 아주 오래되었지만 그대로였다. 심지어 최종 편집일이 2023년이었다. 인터넷의 존재에 감사했다!
"Abstract Class"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Interface의 역할에 대해 이해하는 것이 우선이라 생각해서 먼저 공부했다.
Interface를 클래스와 함께 사용하기
Interface가 우선이라 생각한 이유는 여러 글이나 책에서 둘은 항상 따라다녔기 때문이고 점프 투 자바의 목차에선 Interface가 먼저 나왔기 때문이다.
Interface... 하니 TypeScript가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처음 TypeScript를 공부할 때 Interface를 Type
과 비교했었다. 예전에 면접 준비할 때도 "Type과 Interface의 차이가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받았기 때문에 "Type을 선언할 때 사용한다. 그리고 여러 차이점이 있더라..."는 생각만 가지고 있었다.
여기에 추가로 Class는 주어진 Interface를 "구현"해서 함수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코드와 함께 살펴보자.
카페를 운영하려고 한다. 다양한 메뉴가 있을 텐데, "커피"와 "스무디"를 만들어서 팔 것이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Coffee
클래스와 Smoothie
클래스를 만들었다. name
, price
속성과 makeInformation
이라는 메서드를 공통으로 가지고 있다.
export class Coffee {name: stringprice: numberconstructor(name: string, price: number) {this.name = namethis.price = price}makeInformation(): string {return `${this.name}은(는) ${this.price}원이다.`}}export class Smoothie {name: stringprice: numberflavor: stringconstructor(name: string, price: number) {this.name = namethis.price = price}makeInformation(): string {return `${this.name}은(는) ${this.price}원이다.<br/>${this.flavor} 맛이다.`}}
그리고 나서 Cafe
클래스를 만들었다. 커피, 스무디를 판매하는 메서드가 있다. 각 메서드는 console.log
를 실행한다.
import { Coffee } from './Coffee'import { Smoothie } from './Smoothie'export class Cafe {sellCoffee(coffe: Coffee): void {console.log(`${coffe.name}을(를) 판매했습니다.`)}sellSmoothie(smoothie: Smoothie): void {console.log(`${smoothie.name}을(를) 판매했습니다.`)}}
// index.tsimport { Cafe } from './Cafe'import { Coffee } from './Coffee'import { Smoothie } from './Smoothie'const padosumCafe = new Cafe()const americano = new Coffee('아메리카노', 1000)padosumCafe.sellCoffee(americano)const smoothie = new Smoothie('딸기 스무디', 3000)padosumCafe.sellSmoothie(smoothie)
위 코드를 작성하면서 중복을 제거하고 싶은 욕구를 강하게 느꼈을 것이다!
우선 두 메서드를 sell
이란 메서드로 합치고, 파라미터의 타입은 Union Type 으로 설정했다.
sell(drinkable: Coffee | Smoothie): void {console.log(`${drinkable.name}을(를) 판매했습니다.`)}
하지만 위와 같이 Union Type을 사용하면 카페가 잘 돼서 메뉴가 늘어날 때마다 타입에 추가해야 한다. Cafe
클래스의 sell
메서드가 해당 클래스들에 종속되게 되는 것이다.
이런 경우에 Interface를 추가해서 중복을 제거할 수 있다.
export interface Drinkable {name: stringprice: numbermakeInformation(): string}export class Cafe {sell(drinkable: Drinkable): void {console.log(`${drinkable.name}을(를) 판매했습니다.`)}}
이제 sell
메서드에 전달되는 파라미터는 Drinkable
interface에 적힌 대로 구현되어야 한다.
만약 여기서 sizes
라는 속성을 interface에 추가하면 어떻게 될까?
export interface Drinkable {name: stringprice: numbersizes: string[]makeInformation(): string}export class Cafe {sell(drinkable: Drinkable): void {console.log(`${drinkable.name}을(를) 판매했습니다.`)}}
sell
메서드를 사용하는 곳에서 오류가 나게 된다.
// index.tsimport { Cafe } from './Cafe'import { Coffee } from './Coffee'import { Smoothie } from './Smoothie'const padosumCafe = new Cafe()const americano = new Coffee('아메리카노', 1000)padosumCafe.sell(americano) // errorconst smoothie = new Smoothie('딸기 스무디', 3000)padosumCafe.sell(smoothie) // error
Argument of type 'Coffee' is not assignable to parameter of type 'Drinkable'. Property 'sizes' is missing in type 'Coffee' but required in type 'Drinkable'
sizes
속성이 없다는 오류가 난다. 그럼 해당 오류를 해결하기 위해 Coffee
클래스와 Smoothie
클래스를 수정하러 코드 베이스를 탐색하게 된다.
이런 경우에도 interface를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하는 곳이 아닌 코드를 작성하면서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implements
키워드를 사용해 Coffee
클래스, Smoothie
클래스 등을 정의할 때 전달한 interface 대로 구현을 강제하면 된다.
import { Drinkable } from './Cafe'export class Coffee implements Drinkable {name: stringprice: numbersizes: string[]constructor(name: string, price: number, sizes: string[]) {this.name = namethis.price = pricethis.sizes = sizes}makeInformation(): string {return `${this.name}은(는) ${this.price}원이다.`}}
점프 투 자바의 많은 댓글 중 "상속만 사용해서 구현하도록 하면 되는 것을 왜 interface로 구현하나"라는 내용이 있었고 그에 대한 답변엔 "강제성의 유무 때문이다."라는 내용이 있었다.
처음 읽었을 때 사실 잘 안 와닿았는데 TypeScript에서 implements
를 사용해 클래스를 구현하면, interface 선언대로 구현하지 않는 경우 코드 작성 중 오류를 뿜기 때문에 이 강제성이 발현되는 걸 알게되었다.
글을 마치며
나중에 Abstract Class를 학습할 때 이번에 정리한 강제성의 유무 차이를 다시 떠올려야겠다.
그리고 TypeScript는 타입 시스템을 통해 코드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라고 그 역할을 (얕은 지식으로) 단정 지었는데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더 잘 설계할 수 있게 도와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다른 많은 기능들은 또 얼마나 많이 도와주게 될까? 다음 공부가 기대된다. 집중할 수 있을 때 꼭 집중해서 언어가 만들어진 철학을 잘 이해하자.